티스토리 뷰
PC정비사 기출문제 2021.02.28
문제 34. PC의 하드웨어에 대한 설정 사항을 기억해두고 있는 장소는?”
1️⃣ Boot
2️⃣ CMOS
3️⃣ Flipflop
4️⃣ DMA
정답 : 2. CMOS
왜 ‘하드웨어 설정’을 기억해야 할까?
컴퓨터는 단순히 전원을 켠다고 저절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전원이 들어오면 운영체제(윈도우)를 실행하기 전에 먼저 다음과 같은 정보들을 알아야 해요.
- 어떤 장치(SSD, HDD 등)에서 부팅할지
- 메모리가 몇 GB인지, CPU는 어떤 것인지
- 키보드·마우스·그래픽카드 등의 장치를 어떻게 연결할지
- 날짜와 시간이 무엇인지
👉 이 모든 정보가 없으면 컴퓨터는 무엇부터 실행해야 할지 몰라서 멈춰버립니다.
그래서 이런 하드웨어 정보들을 어딘가에 저장해 두고, 전원을 켤 때마다 먼저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그 “어딘가”가 바로 이번 문제의 정답인 CMOS예요.
CMOS란 무엇인가?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 컴퓨터 안에서 하드웨어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아주 작은 메모리 공간입니다.
📦 쉽게 말하면,
👉 “컴퓨터의 하드웨어 메뉴얼을 보관하는 수첩”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 메모리 용량
- 부팅 순서 (예: SSD → USB → DVD)
- CPU 동작 설정
- 날짜와 시간
등을 모두 CMOS가 기억하고 있습니다.
💡 CMOS는 보통 메인보드 안에 있고, 동전 크기의 작은 배터리(CMOS 배터리) 도움으로 전원을 꺼도 정보가 유지돼요.
보기풀이
1️⃣ Boot (부트, 부팅)
- 영어 “Boot”는 “부팅(booting)”의 줄임말입니다.
- 전원을 켠 뒤 운영체제를 메모리에 불러오는 과정을 말합니다.
- 즉, “저장 장소”가 아니라 “시작 과정”이므로 오답이에요.
📌 예:
전원 켜기 → CMOS에서 정보 확인 → BIOS 실행 → 운영체제(윈도우) 부팅
2️⃣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
- 메인보드 안의 작은 메모리
- PC의 하드웨어 설정 정보를 저장
- 전원을 꺼도 유지되도록 작은 배터리로 전원 공급
📌 쉽게 말하면:
🧠 “컴퓨터의 기억 수첩”
3️⃣ Flip-Flop (플립플롭)
- CPU나 메모리 내부에서 0과 1을 저장하는 회로 장치
- 아주 기초적인 전자회로 개념이라 저장 공간이라기보다 신호를 유지하는 부품이에요.
- 하드웨어 설정과는 직접 관련 없습니다.
📌 쉽게 말하면:
🔌 “전기가 들어왔는지 안 들어왔는지 기억하는 스위치”
4️⃣ DMA (Direct Memory Access / 직접 메모리 접근)
- CPU를 거치지 않고 장치가 메모리에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 하드웨어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이 아니라, 데이터를 빠르게 주고받기 위한 기술이에요.
📌 쉽게 말하면:
🚀 “CPU를 안 거치고 바로 메모리로 보내는 고속도로”
CMOS가 중요한 이유
✅ 1. 컴퓨터가 자기 부품을 알아야 작동할 수 있다
: 메모리 용량, CPU 종류, 부팅 순서 등을 알아야 실행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2. 전원을 꺼도 유지되어야 한다
: 매번 껐다 켤 때마다 설정을 다시 할 수 없으니 CMOS에 정보를 저장합니다.
✅ 3. 변경도 가능하다
: 우리가 “BIOS 설정 화면”에 들어가서 부팅 순서를 바꾸거나 시간을 조정하는 것도 사실 CMOS 정보를 수정하는 것이에요.
'PC정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정비사 기출문제 2021.02.28 문제33_전자파나 누전방지 방법 (0) | 2025.09.29 |
---|---|
PC정비사 기출문제 2021.02.28 문제32_VDT 증후군 (0) | 2025.09.28 |
PC정비사 기출문제 2021.02.28 문제 31_Windows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는 이유 (0) | 2025.09.27 |
PC정비사 기출문제 2021.02.28 문제 30_자기를 사용한 저장장치 (0) | 2025.09.26 |
PC정비사 기출문제 2021.02.28 문제 29_TLC (0) | 2025.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