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PC정비사

[PC정비사 기출문제] 로더의 기능

열공마배미 2025. 9. 10. 10:28

안녕하세요? 열공마배미입니다.

 

오늘 기출문제는 로더의 기능에 관한 문제입니다.

일단 전 문제 자체부터 이해가 안 되더라고요. 

용어가 다 생소해서 그런 것 같아요.

그래서 용어정리부터 해보았습니다.

 

PC정비사 기출문제 2021.02.28

문제12. 언어 번역 과정 중 원시 프로그램(Source Program)을 컴파일하고 기계어로 번역한 뒤 링킹 과정을 거쳐 로더(Loader)에 의해 로드 모듈 프로그램을 주기억 장치로 옮겨서 실행하도록 한다. 다음 중 로더의 기능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 할당(Allocation)
② 연결(Linking)
③ 재배치(Relocation)
④ 번역(Translator)

정답 ④ 번역(Translator)

 

 

 

 

 

문제 속 용어 풀이

원시 프로그램 (Source Program)

→ 사람이 작성한 프로그램 코드.

    예: C언어, Java 같은 고급 언어

 

컴파일 (Compile)

→ Source Program을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Machine Code)로 바꾸는 과정

 

링킹 (Linking)

  • 프로그램은 여러 조각(소스 코드, 라이브러리, 함수 등)으로 나눠져 있어요.
  • 이 조각들을 하나로 연결해서 하나의 큰 실행 파일(EXE 같은 것)을 만드는 과정이 바로 링킹이에요. 
  • 이 단계가 끝나면 실행 준비가 된 로드 모듈(실행 파일 형태)이 만들어져요.
  • 하지만 아직 디스크에 저장된 상태라 CPU가 직접 실행할 순 없어요.

 

로드 모듈 프로그램 (Load Module Program)

  • 링킹이 끝난 파일은 실행할 수 있는 형태로 바뀌어요.
  • 이걸 로드 모듈이라고 불러요.
  •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은 되어 있지만, 여전히 하드디스크에 있는 파일 상태예요.

 

 

로더(Loader)

  • 로더는 운영체제 안에 있는 특수한 프로그램이에요.
  • 로더가 로드 모듈을 메모리(RAM)에 올려서 CPU가 읽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해줘요.

 

 

주기억 장치 (Main Memory, RAM)

→ CPU가 직접 접근하는 메모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려면 반드시 이곳에 올라와야 합니다.

 

 

 

로더(Loader)의 기능

할당 (Allocation)

→ 프로그램이 사용할 메모리 공간을 배정

 

연결 (Linking)

→ 다른 모듈이나 라이브러리와 연결하여 실행 가능하게 만듦

 

재배치 (Relocation)

→ 프로그램 안의 주소를 실제 메모리 주소에 맞게 수정

 

적재 및 실행 (Loading & Execution)

→ 최종적으로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올려 CPU가 실행할 수 있도록 함 

 

 


 

 

 

문제 속에 용어들을 풀어서 정리하니 이해가 되네요^^

컴퓨터가 어떤 과정을 거쳐서 실행되는지 구체적으로 안 건 처음이에요ㅋ

이해하는데 한참 걸려서 머리가 지끈거립니다.ㅋㅋㅋ

 

그럼 전 다음 기출문제로 찾아올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