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열공마배미입니다.

 

PC정비사 운영체제의 기능을 알아보다가 컴퓨터를 켜는 과정에서 컴퓨터 내에선 어떤 일들이 일어나는지 궁금했어요.

사실 요즘 컴퓨터 부팅 속도가 엄청 느려졌거든요.

원인도 모르고 답답한 마음을 가지고 있어서 그런지 부팅과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아야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 BIOS/UEFI - "첫 번째 심판관"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기본 입출력 시스템

  • 예전부터 사용되던 초기 펌웨어
  • 컴퓨터 켜질 때 가장 먼저 실행되는 프로그램
  • CPU, RAM, 키보드, 모니터 같은 기본 하드웨어가 정상인지 검사
펌웨어(Firmware)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에 있는 프로그램

▸ 하드웨어 속에 직접 들어 있는 작은 프로그램이에요.
▸ 컴퓨터나 전자기기가 전원을 켜자마자 작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본 프로그램이죠.
▸ 보통 ROM(롬)이나 플래시 메모리 같은 특수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어요.

 

 

 

UEFI(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통합 확장 펨웨어 인터페이스

  • BIOS보다 발전된 최신 버전
  • 더 빠르고, 대용량 하드디스크도 지원
  • 요즘 나오는 PC 대부분은 BIOS 대신 UEFI를 사용
인터페이스(Interface)란?

둘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 통로

▸ 사람 ↔ 컴퓨터
▸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 프로그램 ↔ 프로그램

이렇게 서로 다른 것들이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매개체를 인터페이스라고 불러요.

 


비유하자면 BIOS/UEFI는 컴퓨터의 보안관이에요.

“RAM 괜찮나? CPU 준비됐나? 하드디스크 연결됐나?” 하면서 하드웨어 건강검진을 하고, 문제가 없으면 다음 단계로 넘겨줍니다.

 

 

 

 

 

2. 부트로더(Boot Loader) - "길잡이"

  • BIOS/UEFI가 검사 후 넘겨주는 건데,

       이제 운영체제를 어디서 불러올지 결정해야 합니다.

  • 이때 등장하는 게 부트로더예요.
  • 대표적인 부트로더

       - 윈도우 → Windows Boot Manager

       - 리눅스 → GRUB

 

쉽게 말해, 부트로더는 택시 기사님이에요.

"당신이 원하는 목적지(운영체제)를 하드디스크에서 찾아 RAM까지 모셔드립니다!"

 

 

 

 

 

3.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 "주인공 등장"

  • 부트로더가 하드디스크/SSD 속에서 운영체제(Windows, Linux 등)를 찾아 RAM에 올려줍니다.
  • 이제 CPU가 이 운영체제를 읽고 실행하면서 컴퓨터를 본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즉, 윈도우 바탕화면이 뜨는 순간이 바로 운영체제가 실행된 거예요.

 

 

 

 

 

 

부팅 과정 한눈에 보기

1. 전원 ON

         

2. BIOS/UEFI : 하드웨어 점검, 부팅 장치 선택

         

3. 부트로더 : 운영체제 위치 찾아 RAM으로 전달

         ↓

4. 운영체제 실행 : 윈도우/리눅스가 올라와 본격적으로 사용 가능 

 

 

 


 

 

 

그냥 전원버튼만 누르면 떡하니 켜지는 줄 알았는데 이런 과정을 거치는 줄 몰랐어요.^^;;

지금은 몰라서 고칠 수 없지만 좀 더 공부하다 보면 부팅이 왜 느린지, 또 어떻게 하면 빨라지는 지도 알게 되겠지요?

 

오늘도 즐겁고 행복한 하루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