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열공마배미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프로세스 스케줄링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이번기출 문제는 하드디스크 용량 표기에 관한 문제입니다.
PC정비사 기출문제 2021.02.28
문제5. 하드디스크 포맷 후 사용자가 실제 쓸 수 있는 용량이 하드디스크에 표기된 것보다 적은 이유는?
① 하드디스크에 오류가 있어 쓸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든 것이다.
② 하드디스크 포맷에 필요한 기본 용량 때문이다.
③ 하드디스크 전체 용량의 10%는 파티션 테이블을 위한 공간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다.
④ 하드디스크 제조업체에서는 1KB를 1000Bye로 계산하지만 실제로는 1024Byte로 계산된다.
정답④
저장 용량 단위 이해하기
(1) SI(국제 단위계) 방식 – 제조업체가 사용하는 기준
- 1KB = 1000 Byte
- 1MB = 1000 KB = 1,000,000 Byte
- 1GB = 1000 MB = 1,000,000,000 Byte
- 1TB = 1000 GB = 1,000,000,000,000 Byte
즉, 10진법으로 계산합니다.
(2) 컴퓨터(2진법) 방식 – 운영체제가 사용하는 기준
- 1KB = 1024 Byte
- 1MB = 1024 KB = 1,048,576 Byte
- 1GB = 1024 MB = 1,073,741,824 Byte
- 1TB = 1024 GB = 1,099,511,627,776 Byte
컴퓨터는 2의 제곱(2ⁿ) 단위로 계산합니다.
왜 이렇게 표현되나?
- 컴퓨터는 메모리 주소(0과 1로 된 비트 조합)를 사용해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 예를 들어, 1KB = 1024Byte인 이유는 2¹⁰ = 1024이기 때문이에요.
- 2¹⁰개의 주소(0~1023)가 존재하므로, 각 주소에 1Byte씩 저장하면 1024Byte가 됩니다.
예전에 용량계산했던 게 어렴풋이 기억나는데 정리하고 보니 제대로 알겠어요.
그리고 왜 컴퓨터 용량이 2진법으로 계산되는지도 이해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반응형
'PC정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속도를 결정짓는 세 가지 핵심! 메모리, CPU, 저장장치 (0) | 2025.09.05 |
---|---|
PC정비사 기출문제 ASCII코드,EBCDIC코드,BCD코드 (0) | 2025.09.05 |
프로세스 스케줄링(Process Scheduling)이해하기 (0) | 2025.09.04 |
RAID 0 기출문제 상세 분석 (0) | 2025.09.04 |
운영체제란? 운영체제 종류와 차이점 (0) | 2025.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