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열공마배미입니다.
오늘 기출문제는 보조기억장치에 관한 문제입니다
PC정비사 기출문제 2021.02.28
문제 24. 보조기억장치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한 기억장치이다.
② 자료 접근 방법에 따라 순차접근 방식과 직접접근 방식이 있다.
③ 다량의 자료를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없다.
④ 보조기억장치의 종류로 HDD, SSD 등이 있다.
정답: 3번
보조기억창지란?
- RAM(주기억장치)는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사라집니다.
- 반대로 보조기억장치(HDD, SSD, USB, DVD 등)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오래 저장할 수 있죠.
- 그래서 우리가 문서를 저장하거나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이 보조기억장치에 기록하는 거예요.
즉, 보조기억장치는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따라서 “보관할 수 없다”라는 보기 3번이 틀린 설명이 되는 거죠.
보기별 해설
1번.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한 기억장치이다. (O)
→ HDD, SSD에 우리가 작성한 문서, 사진, 음악, 프로그램이 다 들어있습니다. 전원을 꺼도 그대로 남아 있죠.
2번. 자료 접근 방법에 따라 순차접근 방식과 직접접근 방식이 있다. (O)
- 순차 접근 : 테이프처럼 원하는 데이터를 찾으려면 처음부터 차례대로 읽어야 하는 방식. (예: 옛날 자기테이프 저장장치)
- 직접 접근 : HDD, SSD처럼 원하는 위치를 바로 찾아갈 수 있는 방식. 요즘 저장장치는 거의 이 방식이에요.
→ 이 부분이 조금 생소할 수 있지만, 그냥 “예전에는 테이프처럼 느린 방식(순차), 지금은 하드처럼 원하는 위치 바로 접근(직접)” 정도로 이해하면 충분합니다.
3번. 다량의 자료를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없다. (X)
→ 보조기억장치의 가장 큰 장점이 바로 대용량 + 영구 보관이에요. USB, 외장하드, SSD 등은 수백 GB, 수 TB까지 저장이 가능합니다.
4번. 보조기억장치의 종류로 HDD, SSD 등이 있다. (O)
→ 우리가 잘 아는 하드디스크(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USB, CD/DVD 등 모두 보조기억장치에 해당합니다.
정리
- 보조기억장치는 대용량 데이터를 오래 보관하는 장치이다.
- 접근 방식은 순차 접근 vs 직접 접근 두 가지가 있다.
- 대표적인 장치는 HDD, SSD, USB, DVD 등이다.
- 따라서, 이번 문제의 정답은 3번입니다.
반응형
'PC정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정비사 기출문제_ECC SDRAM, 몇 Bit일까? (0) | 2025.09.16 |
---|---|
MIDI란 무엇일까? PC정비사 기출문제 풀이 (0) | 2025.09.15 |
PC정비사_HDD와 SDD, 무엇이 다를까? (0) | 2025.09.14 |
PC정비사_RPM이란? (0) | 2025.09.14 |
RAM 기본 개념 (0) | 2025.09.14 |